마크 미너비니의 차트를 이용한 매매법
마크 미너비니는 책에서 자신의 성공을 차트와 정확한 매수 타이밍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물론 펀더멘털 분석도 하지만 이를 근거로 베팅하지 않으며 차트에 의존한다고 하는데요. 그가 말하고 있는 매수타이밍을 정하기까지 과정을 살펴보았습니다.
목차
1. 추세 파악:2. 베이스 구간 확인
1) 축소 횟수 계산
2) 시간압축
3) 개미털기
4) 기관 매집
3. 피봇 지점(매수타점)
1) 직전 거래량
2) 피봇 시점 거래량
4. 스쿼트와 반전 회복
5. 정상적인 상승
1. 추세 파악:
차트를 통해 추세가 2단계임을 파악한다.
▶ 와인스타인은 주식 종목의 움직임을 4단계로 분류한 뒤, 2단계에서 투자를 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트를 참조하세요(https://ecodang.tistory.com/556)
2. 베이스 구간 확인
다음 단계는 적절한 베이스를 찾는 것이다. 주가 상승 뒤에는 항상 조정 모드로 접어들 때 조정이 적게 이뤄지고 거래량이 줄어들어 변동성이 줄어드는 종목이 좋다. 마크 미너비니는 이를 ‘변동성 축소 패턴(VCP, volatility contraction pattern’)이라고 말했다.
베이스 구간에서 확인해야 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축소 횟수 계산
VCP 기간 대략 2~6번의 축소가 이뤄지며, 고점과 저점의 변동폭은 25%에서 15%, 8%와 같이 VCP가 반복될수록 점차 줄어든다. 이렇게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가격 변동성이 줄어드는 것은 베이스가 완성되었음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이전 조정폭의 절반 정도 축소되는 것이 좋다.
변동성 축소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이는 매도가 더 이상 나오지 않아 거래량이 마르면서 주가가 더 이상 하락하지 않는다는 뜻으로서, 제시 리버모어는 이를 ‘최소 저항선(line of least resistance’)’이라 불렀다.
2) 시간압축
베이스 기간이 너무 짧아 V자로 반등하는 종목을 ‘시간압축’이라고 부르며 피해야 한다고 했다(급락 가능성 때문인가?). 적어도 며칠에서 몇 주 정도 충분한 시간을 두고 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3) 개미털기
개미털기가 있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는 심약한 보유자들을 제거하여 주가를 계속 올리기 위함이며, 베이스의 크기에 따라 1~3번에 걸쳐 일어난다.
▶ 마크 미너비니는 그렇다고 해서 손절을 하지 말란 말이 아님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게 개미털기인지 하락의 시작인지 당장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베이스의 시작점에서 급등이 나오면 이 종목은 기간 조정에 취약해지며, 전반적인 시장이 조정받을 때는 더욱 그러합니다. 대개 뉴스가 원인입니다.
4) 기관 매집
기관이 매집했는지 살펴라. 특히 개미털기 이후 대규모 거래량을 동반한 상승은 좋은 신호이며 이는 갭상승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3. 피봇 지점(매수타점)
제시 리버모어가 말한 최소 저항선을 돌파할 때가 매수해야 할 피봇 지점이다. 즉, 더 이상 매도 물량이 없어 약해진 저항선을 돌파할 때가 매수 지점이다. 주가가 최소 저항선을 돌파하면 단기간에 더 상승할 가능성이 아주 크며 정확한 피봇 지점이 무너지는 경우는 드물다.
1) 직전 거래량
정확한 피봇 시점에서는 거래량이 줄어든다. 50일 평균 거래량보다 적어야 하며, 베이스가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거래량을 보이는 경우가 흔하다. 대형주는 가끔 예외가 있지만 중·소형주는 항상 거래량이 마른다.
2) 피봇 시점 거래량
최소 저항선을 돌파할 때는 많은 거래량을 동반해야 한다. 장 개시 2시간 후에 통상적인 수준의 절반 이상의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고, 평균 거래량의 300~400% 이상이 되리라 추정하는 상황에서 피봇 지점을 돌파하면 매수해야 한다. 단, 돌파 전에는 들어가지 마라.
4. 스쿼트와 반전 회복
돌파에 실패해서 다시 피봇 지점 아래로 하락하면 하루나 이틀 정도 기다린 후 다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고 재매수 해야 한다. 어떨 때는 10일 이상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
물론 손절선을 깨고 내려가면 손절해야 한다. 20일 이평선 아래로 내려가면 성공 확률이 줄어든다.
5. 정상적인 상승
주식을 매수하고 난 뒤 정상적인 상승 신호는 다음과 같다.
■ 상승 초기에 거래량이 며칠 동안 증가해야 한다.
■ 주가는 대개 저항 없이 며칠 동안 상승해야 한다
■ 이후 ‘정상 반응’이 일어난다. 이때 거래량은 줄어들며, 상승 추세가 주춤할 수 있다.
■ 정상 반응이 나온 후 며칠 또는 1~2주 안에 거래량이 다시 늘면서 상승 추세는 재개되어야 한다.
마크 미너비니의 세파전략
마크 미너비니는 자신의 투자 전략으로 ‘세파 전략’을 고안했습니다. 세파 전략은 추세, 펀더멘털, 재료, 적당한 매수 지점, 적당한 매도 지점 다섯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이것
ecodang.tistory.com
마크 미너비니가 말하는 손절
마크 미너비니는 그의 저서인 ‘초수익 성장주 투자’에서 2장을 할애하면서 손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가치 투자를 하지 않는 개미 투자자라면 누구나 손절의 당위성을 알고는 있습
ecodang.tistory.com
'책을 읽고 나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목민의 나의 월급 독립 프로젝트를 읽고 (0) | 2024.10.23 |
---|---|
마크 미너비니의 세파전략 (0) | 2024.06.28 |
마크 미너비니가 말하는 손절 (0) | 2024.06.25 |
터틀의 방식, 매수 / 매도 / 손절 전략 – 2편 (0) | 2023.02.13 |
터틀의 방식, 1단위(unit)의 크기 의미와 구하는 법 - 1편 (0) | 2023.02.09 |
제시 리버모어의 피라미딩 전략 중 세 번째, 감정통제 – 6편 (0) | 2023.01.30 |
제시 리버모어의 피라미딩 전략 중 두 번째, 자금관리기법 – 5편 (1) | 2023.01.28 |
제시 리버모어의 피라미딩 전략 중 첫 번째, 타이밍 – 4편 (1)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