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기 전조 증상, 원인과 치료방법
여성들에게 달마다 주기적으로 찾아오던 월경이 끝나는 것을 폐경이라고 합니다. 보통 40대 중후반부터 나타나게 되는데요. 이때 대부분의 여성들은 예민해지거나 우울감, 감정기복 심화, 집중력 저하 등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폐경기도 전조증상이 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폐경기의 원인, 전조증상,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목차
1. 폐경이란?2. 원인
1) 노화현상
2) 난소 손상
3) 항암치료
4) 기타
3. 전조증상
1) 월경 주기 변화와 생리량
2) 안면 홍조
3) 질 내부 변화
4) 다양한 배뇨증상
5) 수면장애
6) 감정변화
4. 치료방법
맺음말
1. 폐경이란?
폐경은 주기적으로 지속했던 월경이 완전히 끝나는 것을 말합니다. 폐경이 되면 여성호르몬이 거의 나오지 않으며 폐경이 되기 수년 전부터 점차 난소기능이 없어집니다. 보통은 4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 사이에 많이 발생합니다만, 40대 이전에 조기 폐경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기폐경은 에스트로겐이 장기간 부족해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심혈관 질환이나 골다공증 등 질병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2. 원인
1) 노화현상
폐경은 노화의 일부분으로서 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노화에 따른 난소의 퇴화로 인해 여성호르몬 분비가 감소함으로써 폐경이 발생합니다.
2) 난소 손상
자궁이나 난소를 절제한 경우입니다. 양쪽 난소 모두 제거하면 여성호르몬을 생성할 수 없어 폐경을 맞이하게 됩니다. 다만, 자궁을 절제하더라도 난소가 남아 있다면 폐경은 되지 않습니다.
3) 항암치료
암 치료를 위해 항암제 치료나 골반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받을 경우 난소가 손상되어 폐경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4) 기타
자가면역질환, 난소 염증, 무리한 다이어트로 인한 영양부족, 흡연, 유전적 요인도 폐경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전조증상
폐경기가 되면 에스트로겐이나 프로게스테론 등의 호르몬 양이 변하면서 다양한 증상을 보입니다.
1) 월경 주기 변화와 생리량
가장 쉽고 빨리 알아챌 수 있는 증상입니다. 평소 월경 주기가 일정하더라도 주기가 불규칙해집니다. 기간 또한 길거나 짧아지며, 생리양도 많아지게 됩니다. 또는 생리기간도 아닌데 피가 비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생리기간이 1주일 이상 길어지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안면 홍조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개인차가 있으며 한번 발생하면 1~2년가량 지속됩니다. 얼굴이나 목이 벌겋게 되면서 열감을 느끼며, 가슴이나 팔 등으로 번질 수도 있습니다. 땀을 많이 흘리며, 자다가 깰 정도로 심하게 올 수도 있습니다.
3) 질 내부 변화
여성 성기인 질 내부 주름이 감소하고 주변 혈류량도 감소하여 탄성을 잃게 됩니다. 그 결과 성교를 할 때 통증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질 내부에서 다른 병균의 발생을 막는 유산균이 감소하여 질염에 걸릴 위험이 높아집니다.
4) 다양한 배뇨증상
요실금, 요로감염, 배뇨곤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수면장애
폐경기가 되면 일찍 잠들기 힘들거나 아니면 일찍 일어나는 것이 힘들 수 있습니다. 아니면 열감으로 인해 자다가 깰 수도 있고요. 이러한 수면장애를 겪는 분들은 다음날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됩니다.
6) 감정변화
우울감이나 흥분, 자신감 상실, 집중력 저하, 고독감, 신경과민 등을 보입니다. 대체적으로 감정기복이 심해지는데, 이는 신체 변화에 따른 정신적 상실감에서 비롯되며, 가정이나 사회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생긴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4. 치료방법
폐경기 치료란 폐경기에 발생하는 증상을 감소시키면서 다른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안면 홍조와 골다공증 예방에 큰 효과를 보이지만, 심장질환이나 뇌졸중의 위험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콩이나 허브류 식물에는 에스트로겐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피토에스트로겐이란 물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맺음말
폐경은 정상적인 노화 현상입니다. 그러므로 적절히 대비하면 폐경기 증상을 감소시키고, 골다공증과 폐경기 관련 질병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폐경기에 특히 조심해야 할 질환은 골다공증과 심혈관 질환입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비타민 D를 섭취하고, 저지방 음식을 먹으면서 동시에 꾸준한 운동을 해야 하겠습니다.
참고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https://www.nrc.go.kr/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
[생활정보 이모저모] - 정선근 교수의 허리 통증에 하면 좋은 운동
'생활정보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디스크 증상과 통증 치료 (0) | 2024.11.18 |
---|---|
손목 통증의 위치, 원인과 치료 방법 (0) | 2024.11.11 |
요양병원 등급 기준과 가격 (0) | 2024.10.30 |
발톱에서 냄새 나는 원인과 제거 방법 (0) | 2024.10.18 |
치매 초기 증상과 원인 (0) | 2024.10.16 |
정부24, 반려동물 등록, 소유자변경, 말소 하는 법 (1) | 2024.09.04 |
고소 / 고발의 차이점과 공통점, 뜻 (0) | 2024.01.30 |
증상별 치약 고르는 방법, 선택기준과 불소 함유량 (0)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