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병원 등급 기준과 가격
노인인구가 증가함으로써 요양병원의 필요성 또한 늘어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요양병원의 의료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병원을 선택할 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요양병원 등급제를 시행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요양병원 등급 기준과 가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 요양병원과 요양원의 차이
많은 사람들이 요양병원과 요양원의 차이에 대해 궁금해 합니다. 요양원은 병원이 아니라서 의사가 상주하지는 않습니다. 거동이 불편해 돌봄이 필요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며, 건강보험공단에서 20%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노인장기요양등급이 있을 때)
반면, 요양병원은 의사/한의사가 상주하고 있는 의료기관입니다. 건강보험 적용을 받으며 환자부담금은 20%로서 80% 가량 병원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요양병원 등급 기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병원 수준을 평가하고 있는데요. 요양병원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요양병원의 인력과 의료서비스에 대해 5개 등급으로 평가합니다.
1) 평가기준
- 구조부문 : 의사,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의료인력 1인당 환자수, 약사 재직일수율
- 진료부문 : 환자의 신체기능, 배설기능, 피부상태, 질환관리, 건강상태 등에 대한 요양병원 의료서비스.
2) 등급
구조부문과 진료부문을 평가하여 1등급에서 5등급으로 나눕니다. 숫자가 작은 등급이 우수한 평가를 받은 병원입니다.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등급제외’ 판정을 받고 평가에서 제외됩니다.
이러한 등급 기준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며, 의료진의 평가에 기반합니다. 따라서 요양병원을 선택할 때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잘 고려하여 적절한 등급의 시설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등급 종합점수가 87점 이상인 기관
2등급 종합점수가 79점 이상 ~ 87점 미만인 기관
3등급 종합점수가 71점 이상 ~ 79점 미만인 기관
4등급 종합점수가 63점 이상 ~ 71점 미만인 기관
5등급 종합점수가 63점 미만인 기관
3. 가격
먼저 요양원은 20% 감경 지원을 받는 사람을 기준으로 1등급은 505,440원, 2등급은 468,900원, 3~5등급은 442,800원을 부담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는 무료입니다.
요양병원의 가격은 진료비, 간병비, 검사비용, 입원실 등급에 따라 금액차이가 발생합니다.
건강보험 본인부담의 비율
진료비는 20%, 식대는 50%입니다.
병실의 경우 4인실은 진료비에 포함되어 계산되고, 1,2인실은 상급 병실료로 따로 계산됩니다.
간병비는 선택사항으로서 보통 12만 원에서 15만 원 정도입니다.
대략적인 요금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정확한 요금은 해당 병원에 문의해야 합니다.
바로가기 : https://www.seniortalktalk.com/
맺음말
요양병원을 선택할 때는 지역, 가격, 서비스, 시설 등급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할 수밖에 없습니다. 현재 자신에게 적합한 요양병원을 찾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생활정보 이모저모] - 요양병원과 요양원의 차이 - 입소자격/간병비
[생활정보 이모저모] - 환갑의 뜻과 나이 계산하는 방법
'생활정보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디스크 증상과 통증 치료 (0) | 2024.11.18 |
---|---|
폐경기 전조 증상, 원인과 치료방법 (0) | 2024.11.14 |
손목 통증의 위치, 원인과 치료 방법 (0) | 2024.11.11 |
발톱에서 냄새 나는 원인과 제거 방법 (0) | 2024.10.18 |
치매 초기 증상과 원인 (0) | 2024.10.16 |
정부24, 반려동물 등록, 소유자변경, 말소 하는 법 (1) | 2024.09.04 |
고소 / 고발의 차이점과 공통점, 뜻 (0) | 2024.01.30 |
증상별 치약 고르는 방법, 선택기준과 불소 함유량 (0) | 2023.06.02 |